티스토리 뷰
728x90
공부하다 보면 ARN 이 여기저기 나오는데 어디서 나오고 어케 써먹는지 정리합니다.
ARN (Amazon Resource Name) 정리
항목 | 설명 |
정의 | AWS 리소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이름 |
형식 | arn:partition:service:region:account-id:resource-type/resource-name |
예시 | arn:aws:iam::123456789012:role/CrossAccountAccessRole |
사용 예 |
- IAM 정책에서 리소스 지정
- STS AssumeRole에서 역할 ARN 지정
- CloudTrail 로그에서 리소스 추적
- Lambda 실행 역할 설정 시
- S3 버킷 정책 등에서 Principal 또는 Resource 지정
🧠 실전 적용

- 여기서 --role-arn은 계정 B에서 생성한 역할의 ARN
- 계정 A의 사용자가 이 역할을 임시로 맡기 위해 사용
728x90
'AWS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데이터 처리 도구 비교표 (0) | 2025.04.05 |
---|---|
AWS Step Functions (0) | 2025.04.01 |
Byte-Range Fetch & Multipart Upload (0) | 2025.03.31 |
NAT Instance vs NAT GW 비교 분석 (0) | 2025.03.31 |
Elastic Fabric Adapter (0) | 2025.03.31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유튜브
- 랭킹
- 유니티
- 과학
- 게임개발
- Solution
- AWS
- 기초
- Unity
- 우주과학
- 성운
- 우주
- 초급
- cloud
- 개발
- 강좌
- glue
- 판타스틱
- c#
- 성단
- mla
- DEA
- SageMaker
- 시샵
- 프로그래밍
- 구독자
- Redshift
- quicksight
- exam
- 학습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